카테고리

아스파탐 음료과 식품은 발암 물질인 걸까?

국제 암 연구소 IARC에서는 아스파탐을 발암 물질에 포함 시켰는데요, 아스파탐은 여러가지 음료와 식품에 활용되고 있죠. 오늘은 이 아스파탐이 무엇인지, 또한 얼마나 위험한 발암 물질인지 살펴보고 시중에 유통중인 아스파탐 음료와 식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스파탐이-얼마나-위험한지-알아봅시다.



  •  목차
  1. 아스파탐은 무엇인가
  2. 발암 물질이 된 아스파탐
  3. 아스파탐 적정 섭취량
  4. 아스파탐 음료와 식품은?
  5. 아스파탐 대체 첨가물
  6. 마치며

 

1. 아스파탐은 무엇인가


1. 아스파탐의 발견

아스파탐은 1965년 미국에서 개발된 인공 감미료로, 원래는 위궤양 치료제 개발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된 것입니다. 이후 1974년 미국 식품 의약국인 FDA의 승인을 받아 설탕의 대체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2. 아스파탐의 열량과 단맛

다양한-음료에-아스파탐-가루가-사용되고-있습니다.

아스파탐은 1g당 4kcal의 열량을 가지고 있지만, 같은 용량으로도 설탕보다 200~300배 정도 더 강한 단맛을 밸 수 있습니다. 또한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아 당뇨병 환자들을 비롯하여 많은 사람들이 설탕 대신 적극 활용해 왔죠.

현재까지 아스파탐은 음료, 껌, 과자, 요거트, 주류, 초콜릿, 아이스크림 등의 식품을 비롯하여 치약, 구강 청결제, 시럽형 물약, 발포 비타민 등에 적극 활용되어 왔습니다.



2. 발암 물질이 된 아스파탐

아스파탐이 갑자기 화제가 된 이유는 세계보건기구 WHO 산하 기관인 국제 암 연구소 IARC에서 아스파탐을 발암 물질로 분류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결정은 논란이 많고 해석이 분분한 문제입니다.


1. 아스파탐이 발암 물질로 분류된 이유

2022년, 한 논문서는 프랑스인 10만 명을 대상으로 한 8년 동안의 연구 결과, 아스파탐 섭취량이 많은 사람들의 유방암과 전립선암 발생률이 15% 정도 더 높게 나왔으며, 아스파탐과 비슷한 아세설팜 K의 섭취량이 많은 사람들 역시 암 발생률이 13% 정도 높다고 발표되었습니다.



2. 아스파탐의 위험성은?

국제 암 연구소에서는 발암 물질을 4그룹으로 나누고 있으며, 그중 아스파탐은 발암물질 2B그룹으로 분류되었습니다. 

이는 '아스파탐이 어쩌면 암을 발생 시킬지도 모른다'는 것이며,  아스파탐이 암을 유발한다는 확실한 근거가 밝혀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발암 물질 4그룹>

  • 그룹 1: 확실한 발암성 물질
  • 그룹 2A: 발암 가능성이 높은 물질 
  • 그룹 2B: 발암 가능성이 있는 물질
  • 그룹 3: 발암 가능성에 대한 연구나 증거가 없는 물질

베이컨과-김치-그리고-커피와-피클도-발암-물질입니다.

또한 아스파탐이 속한 그룹2B의 물질로는 피클, 알로에, 김치, 커피, 핸드폰 전자파 등이 있으며, 아스파탐보다 더 위험한 그룹에 속한 물질로는 소세지, 베이컨, 소고기, 돼지고기, 튀김, 젓갈, 장아찌, 담배, 술 등이 있습니다.

김치만 봐도 한국인 밥상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반찬이 아닐까 싶은데요, 여러분은 어떠십니까? 

아마 대부분이 아스파탐보다 훨씬 위험한 발암 물질이라는 것을 알게 된 이 순간에도 쉽게 포기할 수 없을 거라 생각합니다.

또한 아스파탐과 동일한 2B그룹에 속한 커피와 핸드폰만 해도 우리에게 주는 편의가 큰 만큼 절대 포기할 수 없는데요, 아스파탐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보아야 하지 않을 까 싶습니다.


다이어트를 하고 있는 사람이거나 혈당 조절에 문제가 있어 아스파탐을 활용하는 당뇨병 환자분들에게는 아스파탐이 주는 이점이 단점보다 더 크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런 특수한 상황이 아니더라도 아스파탐을 넣어왔던 식품에 아스파탐 대신 설탕을 넣는다면 오히려 건강을 헤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상태로 아스파탐에 대한 공포심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나의 상태에 맞춰 적절하게 활용해 보는 방법을 가져보면 어떨까 생각해 봅니다.



3. 아스파탐 적정 섭취량


1. 아스파탐 하루 허용 섭취량

우리나라 식품 첨가물 전문가 합동 위원회 에서는 아스파탐 하루 허용 섭취량을 40mg/1kg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이번 아스파탐 발알 물질 지정 사태 이전과 동일한 양입니다.


2. 하루 허용량을 섭취하려면?

그렇다면 하루 허용 섭취량은 얼마나 될까요?

60kg의 성인기준 아스파탐 하루 허용 섭취량은 60*40 = 2400mg 입니다. 500mg 제로 펩시 콜라 한 개에는 90mg의 아스파탐이 들어 있다고 하는데요, 2400mg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약 27병의 펩시 콜라를 섭취해야 합니다. 

현실적으로 하루에 이만큼의 음료를 섭취하기란 불가능에 가깝겠죠?

펩시 콜라 외에도 시중에 아스파탐이 들어가있는 음료와 식품에는 약 70~90mg 내외의 아스파탐이 들어가 있다고 하니 참고하여 섭취해 봅시다.


 ▶▶함께보면 좋은 글

 


4. 아스파탐 음료와 식품은?

현재 아스파탐이 들어간 것으로 확인된 음료와 식품은 다음과 같으며,  대부분 70~90mg 내외의 극 소량을 첨가하고 있습니다. 이는 1일 허용 섭취량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므로 발암 물질이라는 공포심을 가질 필요는 없다고 생각됩니다.

또한 대부분 미량의 아스파탐을 사용해 왔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대부분의 식품 업체가 아스파탐 사용을 중단할 것으로 예상되네요.


1. 식품

  • 일부 중국산 수입 김치, 오리온 나쵸, 감자톡, 포카칩, 오감자, 고래밥, 꿀버터 오구마, 크라운 콘칩 초당 옥수수맛 등


2. 음료

  • 펩시 제로, 노브랜드 제로 콜라, 동원 매실, 그랜드 야쿠르트 등

참고로 코카콜라 제로나 스프라이트 제로와 같은 음료에는 아세설팜K나 수크랄로스와 같이 아스파탐만큼 유해성 이슈가 있는 합성 감미료가 들어가 있습니다.


3. 막걸리

  • 서울 장수막걸리, 지평생쌀막걸리, 지평 생밀막걸리, 국순당 생막걸리, 국순당 대박 막걸리 등

참고로 소주의 단맛을 내기 위해서는 주로 천연 감미료인 스테비아가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맥주에는 단맛을 내는 인공 감미료가 들어가지 않는다고 합니다.



5. 아스파탐 대체 첨가물

 아스파탐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감미료로 스테비아와 자일로스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1. 스테비아

천연 감미료인 스테비아는 허브의 일종인 스테비아에서 추출한 성분입니다. 칼로리는 없지만 설탕보다 200배 정도의 더 강한 단맛을 내지만 뒷맛이 살짝 씁쓸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아 당뇨 환자분들에게도 권장되는 감미료 중 하나입니다.

  • 가격: 14,000원 내외/1kg
  • 설탕보다 200배 더 단맛을 냄
  • 열량 없음



2. 자일로스

자일로스는 자작나무나 메이플 나무, 코코넛 껍질 등 에서 추출한 당 성분입니다. 1g당 2.4kcal의 열량을 내지만 대부분 인체에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혈당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설탕보다 60배 정도 강한 단맛을 낼 수 있습니다.

  • 가격: 4,000~5,000원 내외/1kg
  • 설탕보다 60배 더 단맛을 냄
  • 열량: 2.4kcal/g (거의 흡수 안됨)



위와 같은 천연 감미료 외에도 사카린, 아세설팜K, 슈크랄로스 등의 인공감미료가 있지만, 대부분 아스파탐과 비슷한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만큼, 아스파탐을 대체하는 물질을 찾는다면 위와 같은 천연감미료를 사용해 보는 것이 좋을 거라 생각됩니다.



6. 마치며

아스파탐은 아직까지 인체에 해로운 명확한 기전이 밝혀지지 않은 논란의 물질입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 WHO 산하 기관인 국제 암 연구소 IARC에서 발암 물질로 분류된 사실을 고려하면 굳이 필요한 경우가 아니라면 아스파탐 섭취를 늘리지 않는 것이 좋겠죠? 그렇지만 아스파탐을 섭취하는 데 얻을 수 있는 이익이 더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적절한 양을 지켜서 섭취해 보시길 바랍니다.